입학 및 상담전화
직무요건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, 바램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·정서 적 반응 (미국산업안전보건원)
사업주는 근로자가 장시간 근로,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, 차량운전 및 정밀기계 조작작업 등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(이하 “직무스트레스”라 한다)이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법 제5조 제1항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조치를 하여야 한다.
01. 계획 수립 및 예비 조사 | 사업장 기본 정보 (업종, 인원 등) 작성 및 예비 조사 (공정, 단위작업, 유해위험기구 등 파악) |
---|---|
02. 규제 법규 검토 | 사업장에 해당되는 법규 항목 리스트화 (중대재해처벌법, 산업안전보건법) 필요시 환경, 소방 분야 추가 |
03. 서류 점검/컨설팅 | 작성된 리스트를 기반으로 필요한 서류 작성, 보관 상태 확인 |
04. 현장 점검/컨설팅 | 작성된 리스트를 기반으로 서류와 현장의 일치 여부 확인, 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 |
05. 결과보고서 제출 대책수립 및 실행 | 서류, 현장 미흡한 점에 대한 결과 보고서 작성/제공 개선 방향, 예시에 대한 별도 보고서 제공 중대재해 위험점에 대한 별도 보고서 제공 (필요시) 현장 개선 업무 수행 Follow-up Service 제공 |